윤달이란?

윤달은 예로부터 ‘썩은 달’이라고 불리며, “하늘과 땅의 신(神)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기간으로 이때는 사람의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졌다. 그래서 이런 윤달에는 이장(移葬) 또는 수의(壽衣)를 하는 풍습이 생겨 전해 내려오고 있다.

1삭망월은 29.53059일로서, 음력의 12달은 1태양년보다 약 11일이 짧아 계절과 너무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간간이 추가한 달을 윤달이라고 한다. 19년 7 윤법은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19태양년에 7개월의 윤달을 둔다.

1태양년은 365.2422일이고 삭망월(朔望月)은 29.53059 일이므로 음력의 12 달은 1 태양년보다 대략 11일이 짧게 된다. 따라서 8년에 석 달 또는 3년에 한 달의 윤달을 넣어야 한다. 만약 윤달에 음력을 추가하지 않을 경우 17년 후 5월이나 6월에 눈이 내리고 동지·섣달에 더위를 경험하게 된다.

윤달을 두는 방법이 여러가지로 고안되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19년 7윤법(十九年七閏法)이라 하여 19태양년에 7개월의 윤달을 두는 게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는 19태양년이 235태음월과 같은 일수가 된다.

19태양년=365.2422일×19=6939.6018일 235삭망월=29.53059일×235=6939.6887일 차이 0.0869일=2.09시간 여기에서 6939일을 동양에서는 장(章)이라고 하여 BC 600년경인 중국의 춘추시대에 발견되었고, 서양에서는 메톤주기라고 하여 BC 433년에 그리스의 메톤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장주기, 즉 메톤주기는 계절과 월상(月相)이 먼저대로 복귀되는 주기이다.  

윤달이 들은 해 (음력)

2001년 4월  /  2004년 2월  /  2006년 7월  /  2009년 5월  /  2012년 3월

2014년 9월  /  2017년 5월  /  2020년 4월  /  2023년 2월  /  2025년 6월

2028년 5월  /  2031년3월  / 2033년 11월  /  2036년 6월  /  2039년 5월

2042년 2월  /  2044년 7월  /  2047년 5월  /  2050년 3월  /  2052년 8월

윤년이란?

2월이 28일까지 있는 것이 태양력에서의 평년이지만 29일은 둔 2월이 있는 해를 윤년이라 한다. 치윤법을 바탕으로 400년 중 97년을 윤년으로 정하고 있다. 1년의 길이가 365일로 실제보다 0.2422일 짧아 점차 계절과 차이가 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원래 평년에 28일까지 있는 2월이지만, 윤년이 없는 평년만 이어진다면 1년의 길이가 365일로 돼 실제보다 0.2422일 짧아져 점차적으로 계절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율리우스력에스는 4년 주기로 2월을 29일로 정해 4년동안의 연평균 일수를 365.25일로 정했다. 이 결과는 실제보다 1년에 0.0078일이 길게 된다.

그후 다름과 같은 치윤법(置閏法)을 그레고리오력에서는 정하고 시행하였다. 즉, (1) 서력 기원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우선 윤년으로 하고, (2) 그 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하며, (3) 다만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다시 윤년으로 정하였다. 이로써 1년의 평균길이를 365.2425일로 정하여 역에 썼으므로 실제의 1년보다 0.0003일이 길다.

그레고리오력에서는 400년동안 97년이 윤년이 된다. 1896년부터 한국에서는 태양력을 쓰는데 이 역법이 그레고리오력이다. 현재의 태양력이 그레고리력인 것이다. 그레고리오력의 치윤법에 따라 1900년은 평년이 되었고 2000년은 윤년이 된다.